맘아이 프로그램을 삭제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유해 차단이 유지되는 문제는 맘아이의 백업된 설정 데이터나 관련 서비스가 여전히 활성화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아래에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단계별 방법을 제시합니다.
1. 프로그램 완전 삭제 확인
(1) 제어판에서 삭제
- 제어판 > 프로그램 및 기능으로 이동합니다.
- 맘아이 프로그램이 목록에 남아 있는 경우, 선택 후 “삭제”를 클릭합니다.
- 삭제 시 부모모드 비밀번호가 필요할 수 있으므로 이를 입력하세요.
(2) 관련 파일 및 폴더 삭제
- 맘아이 프로그램이 설치된 기본 경로를 확인하고, 남아 있는 파일을 삭제합니다:
- 기본 경로:
C:\Program Files\Momi
또는C:\Program Files (x86)\Momi
.
- 기본 경로:
- 해당 폴더를 완전히 제거하세요.
(3) 레지스트리 정리
- Windows 키 + R을 눌러 실행창을 열고
regedit
를 입력하여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실행합니다. - 다음 경로에서 맘아이와 관련된 키를 검색하여 삭제합니다:
HKEY_LOCAL_MACHINE\SOFTWARE\Momi
HKEY_CURRENT_USER\Software\Momi
2. 백업된 설정 데이터 복원 방지
맘아이는 서버에 설정 데이터를 백업하여 재설치 시 복원할 수 있습니다. 이를 방지하려면:
- 맘아이 서버와의 연결 차단:
- 방화벽 설정에서 맘아이 관련 도메인(
momi.co.kr
)을 차단하세요.
- 방화벽 설정에서 맘아이 관련 도메인(
- 백업된 데이터 삭제:
- 맘아이 설정 파일이 PC에 남아 있을 수 있으므로, 해당 파일을 찾아 삭제합니다.
3. 유해 차단 기능이 다른 프로그램에서 활성화되어 있는지 확인
맘아이 외에도 다른 자녀 보호 프로그램이나 브라우저 확장 기능이 유해 차단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 브라우저 확장 프로그램 확인:
- Chrome, Edge 등 브라우저의 확장 프로그램 목록에서 유해 차단 관련 확장이 설치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제거하세요.
- 다른 보호 프로그램 점검:
- PC에 설치된 다른 자녀 보호 소프트웨어(예: 그린인터넷, 스마트키퍼 등)가 활성화되어 있는지 확인하세요.
4. 시스템 초기화
문제가 지속될 경우, 시스템 초기화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
- Windows 초기화:
- 설정 > 업데이트 및 보안 > 복구 > 이 PC 초기화를 선택하여 시스템을 초기 상태로 복원합니다.
- 초기화 전에 중요한 데이터를 백업하세요.
5. 추가 도움 요청
- 문제가 해결되지 않을 경우, 맘아이 고객센터(1661-9951)에 문의하여 추가적인 지원을 요청할 수 있습니다.
결론
프로그램 삭제 후에도 유해 차단이 유지되는 문제는 백업 데이터 또는 다른 보호 프로그램의 영향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위 단계를 통해 완전히 제거하고 시스템을 정리하면 문제가 해결될 것입니다.